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및 대학원 학위수여식이 지난 27일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대학 행정관에서 성대하게 개최되었습니다. 이날 행사는 미래 의료계를 이끌어갈 졸업생들에게 단순한 학위 수여를 넘어, 의사로서 가져야 할 사회적 책무와 책임감에 대해 강조하는 자리가 되었습니다.
의사의 사회적 책무 강조
김정은 학장은 축사에서 현재 의료계가 직면한 필수의료, 지역의료, 공공의료 붕괴 문제와 이에 따른 의대 정원 증원, 의사과학자 양성의 필요성 등 사회적 화두에 대해 언급하며, 국민들로부터 더 높은 사회적 책무성을 요구받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의사 집단의 집단행동과 전공의 이탈 등에 대한 여론을 의식한 발언으로, 의사로서의 사회적 책무와 서울대 의대가 갖는 사회적 위상에 걸맞은 책임을 강조했습니다.
받은 혜택 사회에 돌려주기
김 학장은 의사가 숭고한 직업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경제적 이익을 추구하는 직업이 아니라 사회적 책무를 수행하는 직업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의료계가 국민들로부터 받는 따가운 질책에 대한 반성과, 받은 혜택을 사회에 돌려주어야 한다는 책임감을 의사들이 가질 때, 서울대 의대의 전통이 국민의 신뢰 속에서 우리나라 미래 의료 및 의학계를 이끌어갈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기
김 학장은 졸업생들에게 자신이 열심히 노력해서 여기까지 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은 사회로부터 많은 혜택을 받아 이 자리에 서 있다고 지적하며, 항상 국민의 눈높이에서 바라보고, 사회로부터 받은 혜택을 주변과 나누며, 사회로 돌려주기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항상 생각하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이날 졸업식에 참석한 133명의 졸업생들은 의사 윤리 강령 선서를 통해 개인적 이익과 이해 상충을 적절히 관리하며, 환자와 사회의 신뢰를 유지할 것을 다짐했습니다. 이는 미래 의료계를 이끌어갈 새내기 의사들에게 무엇보다 중요한 메시지로, 사회적 책무와 의사로서의 숭고함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순간이었습니다.
이러한 메시지는 단지 의대 졸업생들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의료인들이 생각해봐야 할 중요한 주제입니다. 의료계의 현재와 미래를 고민하며, 의사 개개인이 사회적 책무를 어떻게 이행할 것인지에 대한 심도 깊은 고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세상은요오지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비용 상승 원인과 대응 방안 (0) | 2024.03.01 |
---|---|
백종원, 대파와 감자를 활용한 음료 출시 후 사과문 발표: 혁신적인 시도에 대한 소비자 반응 분석 (1) | 2024.02.29 |
무인매장의 이용 불편 사례와 해결 방안 모색 (0) | 2024.02.29 |
의료 현장의 위기,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하는 의료진의 절규 (1) | 2024.02.28 |
간호사가 전공의 업무 일부를 맡는 새로운 변화: 의료 현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0) | 2024.02.27 |